-
(이것이 우분투 리눅스다)DHCP 서버CS/Linux 2024. 7. 13. 23:42반응형
DHCP 서버란?
DHCP 서버는 자동적으로 IP 주소를 할당해주는 서버이다.
IP주소 할당에는 고정 IP 주소 할당과 동적 IP주소가 있다.
DHCP 서버를 이용하면 컴퓨터가 부팅될때마다 동적으로 매번 다른 IP 주소를 할당 받을 수 있다.
작동방식
기존의 다른 서버들의 경우 서버의 IP 주소를 알고 있어야 했다.
하지만 DHCP 서버는 자신이 담당하고있는 네트워크 안에서 동작하기 때문에 서버의 IP 주소를 몰라도 된다.
동작순서는 다음과 같다.
우선 같은 네트워크 영역에 DHCP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있다는 가정하에
클라이언트가 컴퓨터를 부팅하면 자동으로 자신이 속한 네트워크 영역에 DHCP 브로드캐스트를 날린다.
그럼 DHCP 서버가 이를 수신하여 IP 주소를 할당하는 방식이다.
실습
DHCP 서버를 만드는 실습을 한다.
Server를 DHCP 서버로 만든다.
방법은 어렵지 않다.
1)apt -y install isc-dhcp-server명령으로 패키지를 설치한다.
2)DHCP 서버의 설정 파일인 /etc/dhcp/dhcpd.conf 파일을 수정해야한다.
다음의 내용을 추가한다.
subnet 네트워크 주소 netmask 넷마스크 값 {
option routers 게이트웨이주소;
option subnet-mask 넷 마스크 정보;
range dynamic-bootp 시작IP 끝 IP주소;
option domain-name-servers 네임 서버주소;
default-lease-time 임대시간;
max-lease-time 최대임대시간;
}
이렇게 입력해주면 입력한 네트워크 대역대의 컴퓨터중 동적 IP 주소를 할당받은 대상에게 입력한 범주의 IP 주소내에서 할당을 한다.
할당한 IP 주소에 대한 로그는
/var/lib/dhcp/dhcpd.leases에 남긴다.
반응형'CS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Xrdp 설치시 검은화면 오류 (1) 2024.10.09 (이것이 우분투 리눅스다) 프록시 서버 (5) 2024.07.14 리눅스 소켓프로그래밍- 멀티세션 구현을 위한 스레드 (2) 2024.05.07 리눅스 소켓프로그래밍_UDP기반 서버/클라이언트 구현 (0) 2024.04.29 리눅스기반 소켓프로그래밍_기본적인 함수설명 (1) 2024.04.28